본문 바로가기

국가유공자 병원비5

국가유공자 대상 전문위탁진료(일반병원) 의료비 지원(환급) 국가유공자는 대략 4가지 방법으로 병원진료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1. 보훈병원2. 위탁병원3. 일반병원 외래(통원) 진료4. 전문위탁진료 가장 대표적인 의료지원은 1번, 2번인 보훈, 위탁병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. 하지만 꼭 보훈, 위탁병원 진료 시에만 지원이 가능할까요? 아닙니다. 3, 4번에 명기했듯, 일반병원에서 진료받더라도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이번 포스팅에서는 위 4가지 방법 중 4번, 전문위탁진료 진료비 환급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  ※ 1번 ~ 3번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혜택은 아래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알려드리고 있습니다. ▶ 국가유공자, 유가족(배우자) 보훈 위탁병원 진료비 할인 감면 혜택 국가유공자, 유가족(배우자) 보훈 위탁병원 진료비 할인 감면 혜택보훈대상 국.. 2024. 11. 13.
국가유공자 일반병원 응급실 입원비용 진료비 환불 & 환급 신청 방법 이전 포스팅을 통해 국가유공자가 보훈병원, 위탁병원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부터 일반병원 통원진료 지원에 대한 사항까지 알아보았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황이 급박하여 사전 신청이 불가한 응급실 입원비용 진료비 환불 제도 및 환급 신청 방법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.  해당 지원 제도는 불의의 재해 혹은 위급한 상태에서 즉각적인 의료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, 응급실을 통한 진료 후 해당 진료비를 환불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 특히 다수의 [위탁병원]은 응급실이 없는 의원급(1차 의료기관)이 많기 때문에 참전유공자분들 등 고령의 연령대를 고려할 때 응급실 이용에 대한 정보는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. ※ 본 포스팅은 국가보훈부령 제21호 국가보훈대상자 의료지원에 관한 규칙(2023.10... 2024. 8. 31.
국가유공자 보훈병원 진료시 본인 부담 진료비 범위 (국비지원 제외) 국비진료 대상 국가유공자가 보훈병원에서 진료 시 의료비용 대부분 정부에서 부담하지만, 모든 진료분야에 대해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지원이 불가한 비급여 항목을 포함하여 유공자 본인이 부담해야 할 진료비의 범위를 살펴보겠습니다.  ※ 본 포스팅은 국가보훈부령 제21호 국가보훈대상자 의료지원에 관한 규칙(총리령) 별표 2, 별표 3의 내용을 근거로 작성되었습니다. 본인 부담 진료비 기본적으로, 국비진료대상자의 진료비는 국가에서 부담함을 원칙으로 합니다. ※ 국비진료 대상자? 감면 대상자?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국가유공자, 유가족(배우자) 보훈 위탁병원 진료비 할인 감면 혜택보훈대상 국가유공자 및 배우자 등 유가족이 보훈 위탁병원 이용 시 진료비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.. 2024. 8. 27.
국가유공자 병원비 지원 제도 : 일반병원 통원진료 진료비 환급 국가유공자에 대한 의료지원을 위해, 보훈병원이나 위탁병원에서 진료 시 전액 국비진료 혹은 최대 90%까지 병원비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. 그렇다면 일반병원에서는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통원진료 시 진료비 환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  통원진료 제도는?근거리에 보훈병원 혹은 위탁병원이 없거나,있다 하더라도 해당 진료과목 및 전문의가 없는 경우,일반병원에 왕래하며 외래진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 단, 외래진료비 환급을 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들을 충족해야 합니다. 한 가지씩 살펴보겠습니다. 1.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. 우선 진료받고 후청구시 진료비 지원은 불가합니다. 사전에 관할 보훈(지) 청으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.  2. 기납부한 진료비를 환급받는 방식입니다. 최초 진료비용.. 2024. 8. 25.